본문 바로가기
영어 공부/쉬운 문법, 영문법, grammar

[중등 문법] 조동사 must와 have to의 쓰임

by 아기뼝아리 2020. 3. 16.

[중등 문법] 조동사 must와 have to의 쓰임

조동사 must와 have to의 뜻은 '~해야 한다'라는 명령에 가까운 강한 의무를 뜻합니다. 오늘의 중등 문법에서는 조동사 must와 have to의 쓰임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조동사 must와 have to의 쓰임

강한 의무의 must = have to

must와 have to는 둘다 강한 의무를 나타내며, '~해야 한다'라는 뜻으로, 뜻이 같습니다. must와 have to는 서로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예1) You must listen to your parents. (너는 부모님 말씀을 들어야 한다)

예2) You have to listen to your parents. 

예3) I must finish this project by tomorrow. (나는 이 프로젝트를 내일까지 끝내야 한다)

예4) I have to finish this project by tomorrow.

 

 

must의 미래와 과거를 표현할 때는 have to를 쓴다

예1) You will have to work very hard. (너는 일을 매우 열심히 해야 할 것이다)

예2) You had to work very hard. (너는 일을 매우 열심히 해야 했다)

예3) I will have to turn down his offer. (나는 그의 제안을 거절해야 할 것이다)

예4) I had to turn down his offer. (나는 그의 제안을 거절해야 했다.)

must not VS don't have to

must와 have to는 둘다 '~ 해야한다' 라는 강한 의무를 나타내지만, 그 반대말들은 각각 뜻이 조금씩 다릅니다.

must not (~ 해서는 안된다)

예1) You must not worry about what happened in the past. (너는 과거에 일어났던 일을 걱정해서는 안된다.)

예2) You mustn't talk back when you talk to your parents. (부모님과 이야기 할 때는 말대꾸를 해서는 안된다)

don't have to (~ 할 필요가 없다)

예1) You don't have to worry about me. (너는 나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예2) You don't have to go unless you want. (네가 원하지 않는 한 갈 필요가 없다)

 

 

강한 추측을 나타내는 must

must가 강한 추측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have to와 바꾸어 쓸 수 없습니다. have to에는 강한 의무 '~해야 한다'라는 뜻만 있기 때문입니다.

예1) She must be surprised by his showing up. (그녀는 그의 등장에 놀랐음에 틀림 없다)

예2) He must have a lot of money. (그는 돈이 많음에 틀림 없다)

예3) You must have the wrong number. (너는 전화를 잘못 걸었음에 틀림 없다)

과거에 일어난 일에 대한 강한 추측을 나타내는 must have pp

must는 조동사라 기본적으로 과거 시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must 뒤에 오는 동사원형 자리에 have + pp를 넣어주어 과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1) She must have been surprised by his showing up. (그녀는 그의 등장에 놀랐었음에 틀림 없다)

예2) He must have had a lot of money. (그는 돈이 많았음에 틀림 없다)

예3) You must have had the wrong number when you called him. (너는 그에게 전화할 때 전화를 잘못 걸었음에 틀림 없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