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공부/쉬운 문법, 영문법, grammar

[중등 문법] 조동사 should의 쓰임

by 아기뼝아리 2020. 3. 20.

[중등 문법] 조동사 should의 쓰임

오늘의 중등 문법에서는 조동사 should의 쓰임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조동사 should의 쓰임

충고와 추천의 should

should의 뜻은 '~해야한다' 라는 뜻으로 명령을 의미하는 것 같지만, 명령보다는 충고나 추천에 가깝습니다. 물론 must처럼 '~해야한다' 라는 의무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그 강도가 약합니다.

예1) That restaurant is really good! You should go there too! (그 식당은 정말 좋아! 너도 거기 가봐야해!) 

예2) The movie was very interesting! You should see it too! (그 영화는 정말 재미있었어! 너도 꼭 봐야해)

예3) I bought this in really good price there. You should buy it too! (나 이거 거기서 정말 싸게 주고 샀어! 어머 너도 꼭 사야해)

should는 명령보다는 충고와 의무에 가까우므로 think라는 동사와 쓰일 때가 많습니다.

 

 

예1) I think you should study English hard. (내 생각에는 넌 영어공부를 열심히 해야해)

예2) I don't think you should break up with him for that. (난 네가 그 일로 그와 헤어지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해)

예3) Do you think I should give him a second chance? (내가 그에게 두 번째 기회를 줘야 한다고 생각해?)

금지를 나타내는 shouldn't

should의 부정어인 should not / shouldn't 는 '~해서는 안된다 (바람직 하지 않다)' 라는 뜻의 금지를 나타냅니다. 

예1) You shouldn't lie to people who love you. (너는 너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거짓말을 해서는 안된다)

예2) You shouldn't take a nap more than 1hour. (너는 낮잠을 1시간 이상 자서는 안된다)

예3) You shouldn't drink too much coffee. (너는 커피를 너무 많이 마셔서는 안된다) 

 

 

should와 must

should와 must는 둘 다 '~해야한다' 라는 의무를 표현하는 단어이지만, should는 도덕적, 상식적이기 때문에 당연히 '해야한다'라는 뜻으로, 강제성이 포함된 강한 의무의 표현인 must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예1) You should listen to your parents. (너는 부모님 말씀을 들어야 한다 / 듣는 것이 옳다)

예2) I must finish this before my boss come back. (나는 우리 상사가 돌아오기 전에 이것을 끝내야만 한다)

 

 

감정과 판단의 should

주절에 감정과 판단을 나타내는 형용사나 명사가 나오는 문장에서, should가 종속절에 들어가면 '~하는 것은 ~한 일이다'라는 뜻이 됩니다.

 

 

감정과 판단을 나타내는 형용사 / 명사

a pity (어 피티) - 유감

natural (내츄럴) - 당연한, 자연스러운

necessary (네서서리) - 필요한

right (롸잇) - 옳은, 당연한

strange (스트레인지) - 이상한

surprising (서프라이징) - 놀라운

예1) It is a pity that I should leave so soon. (이렇게 빨리 떠나야 하는 것이 유감이다)

예2) It is necessary that mother should punish her child when he misbehaves. (아이가 잘못할 때 엄마가 혼내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예3) It is strange that it should be so cold in May. (5월에 이렇게 추운 것은 이상한 일이다) 

 

 

should의 생략

주절에 주장, 명령, 요구, 소망, 제안 등을 나타내는 동사가 들어가는 문장에서, 그 동사의 목적절에 해당하는 that절에 들어가는 should는 생략될 수 있습니다. should가 생략되면, should 뒤의 동사원형은 그 형태를 바꾸지 않고 계속 동사 원형으로 유지합니다.

명령, 요구, 소망, 제안 등을 나타내는 동사

demand (디맨드) - 요구하다

desire (디자이어) - 소망하다

insist (인시스트) - 주장하다

order (오더) - 명령하다

propose (프로포즈) - 제안하다

suggest (서제스트) - 제안하다

예1) I demand that he (should) raise our minimum wage. (나는 그가 우리의 최저 시급을 올려주기를 요구한다)

예2) I desire that he ask me out. (나는 그가 나에게 데이트 신청을 하기를 소망한다)

예3) He suggests that she become his consultant. (그는 그녀가 그의 자문위원이 되어주기를 제안합니다)

댓글